Part 2 커피 로스팅과 향미 평가
01 로스팅 특성
02 로스팅 머신과 방법
03 로스팅에 따른 성분 변화
04 커피 향미 평가
01 로스팅 특성
로스팅, Roasting, 배전, 焙煎
- 생두가 일정한 열을 공급받아 물리적,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원두로 변화하는 과정.
- 이 과정을 통해 생두의 색깔이 변화하고, 향기 맛 성분이 새롭게 생성.(수분, 지방분, 섬유질, 당질, 카페인, 유기산, 탄닌 등)
- 생두는 로스팅을 통해 건조해져서 부서지기 쉬운 다공질 구조로 변함.
- 커피 생두 자체는 녹색 빛을 띠기 때문에 그린빈(Green Bean)으로 불리며, 로스팅과정을 통해 색기 갈색으로 변화함. 커피는 음용 가능한 커피를 만들기 위해 로스팅 과정을 거쳐야 함.
- 생두의 수확시기, 수분함량, 조밀도, 종자, 가공방법 등 생두의 특성에 따라 로스팅을 해야함.
로스팅 단계
로스팅의 열 전달 방식
(1) 복사(Radiation) : 드럼 철판에 축적되는 열이 내부로 전달되는 방식 ex)전자레인지
(2) 전도(Conduction) : 드럼(로스터 머신통)에 생두가 닿으면서 직접 얻게 되는 열 ex)프라이팬
(3) 대류(Convection) : 가열된 공기가 물의 순환을 통해 전달되는 열 ex)에어프라이어
로스팅 단계
건조단계: 터닝포인트(온도가 낮아지다가 급격히 올라가는 지점, 수분이 날아가는 단계)
열분해단계: 2번의 크랙이 발생, 1차크랙(센터컷이 터짐, 콩의 세포 내부 안에 있는 수분이 증발하면서 나타나는 내부 압력에 의해 발생), 2차 크랙 발생(주로 이산화탄소의 생성에 의한 팽창으로 생성)
냉각단계: 냉각을 시켜주지 않으면 로스팅이 더 진행될 수 있으므로 바로 냉각시켜주는 것이 중요.
로스팅에 따른 변화
물리적 변화
1. 수분 날아감(수분함량 10~12% → 1~2%)
2. 내부 압력 팽창(1차 크랙)
3. 크기 증가(1.5~2배)
4. 중량 감소(수분이 감소하여 12~20%정도 감소)
5. 콩의 껍질(Chaff)발생, 생두의 실버스킨이 나오는 것.
6. 이산화탄소 배출
7. 물리적 균열(2차 크랙)
3. 컬러 변화(녹색-노란색-갈색-검은색)
화학적 변화
마이야르 반응(Maillard Reaction) : 생두의 당과 아미노산 성분이 반응하여 갈색 색소(멜라노이딘)를 생성하고 다양한 맛과 향이 발현 ex)빵, 스테이크
캐러멜화 반응(Caramelization) : 생두의 당 성분이 고온에서 가열되며 갈변 반응이 일어나고 맛과 향에 영향을 미침 ex) 달고나
로스팅의 단계적 분류
- 로스팅 단계별 명칭이나 정의는 아래와 같이 일정치 않고 나라나 지역마다 다름.
- 우리가 주로 먹는 단계 (SCA) ML, M, MD - (일본) High City Full-city - Agtron( 65 55 45)
- 일본의 분류는 바리스타 시험 문제를 위해, 라시미하시풀프이 순서로 외우면 도움이 됨.
02 로스팅 머신과 방법
1) 로스팅 머신
- 열원에 따라: 가스, 전기, 오일, 숯 등. 주로 가스가 사용 됨.
- 로스팅 방식에 따라: 직화식, 반열풍식(전도와 대류열), 열풍식(대류열)
방식 | 원리 | 장점 | 단점 | 열전달 방식 |
직화식 | 드럼의 작은 구멍들을 통해 화력이 콩에 직접 닿아 로스팅 | 예열시간 짧음, 개성적 커피맛 표현 | 열량 조절 어려움, 균일한 로스팅 어려움, 커피를 태울 수 있음, 외부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음, 초보가 사용하기 어려움 | 전도열 |
반열풍식 | 드럼 표면의 열전도+드럼 뒤쪽으로 오는 열풍의 대류 | 열 손실 적음, 고른 로스팅, 원두 내부 팽창 쉬움, 안정적 커피맛 | 직화식보다 예열시간이 길고, 개성적 맛표현 어려움 | 전도/대류열 |
열풍식 | 로스팅 시간 빠름, 고른 로스팅, 안정적 맛과 향, 시각적으로 로스팅 진행 확인 가능 | 예열 시간 김, 저온 로스팅 어려움, 개성적 맛표현 한계 | 대류열 |
* 반열풍식은 깨볶는 회사에서 만듬
2) 부품 명칭 및 역할
- 호퍼(Hopper): 미리 계량된 생두를 담아 놓는 통
- 드럼(Drum): 커피콩이 담겨져 로스팅이 이루어지는 곳. 모터로 중심축이 돌면서 일정한 속도로 회전.
- 샘플러(Sampler): 로스팅시 콩을 미리 확인해볼 수 있는 곳
- 댐퍼(Damper): 드럼과 연통 사이를 개폐하는 장치, 드럼 내부의 공기 흐름과 열량 조절.
- 버너(Burner): 노즐을 통해 열을 드럼에 공급하는 장치
- 싸이클론(Cyclone), Chaff collector): 로스팅 중 발생된 실버스킨(chaff)을 제거
3) 로스팅 방법
저온-장시간 로스팅 | 고온-단시간 로스팅 | |
로스터 종류 | 드럼 로스터 | 유동층 로스터 |
커피콩 온도 | 200-240도 | 230-250도 |
시간 | 15-20분 | 1.5-3분 |
밀도 | 상대적으로 팽창이 적어 밀도가 큼 | 상대적으로 팽창이 커 밀도가 적음 |
가용성 성분 | 적게 추출 | 10-20% 더 추출 |
경제성 | 고온-단시간 로스팅이 한 잔당 커피 사용량을 10-20% 적게 사용하게 되어 더 경제적 |
'커피 > 커피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. 커피추출(커피 추출 조건) (0) | 2021.09.23 |
---|---|
7. 커피로스팅과 향미 평가(로스팅에 따른 성분변화, 향미평가) (0) | 2021.09.20 |
5. 커피학개론(커피 분류, 커피 평가, 커피 원산지) (0) | 2021.09.08 |
4. 커피학개론(커피 수확, 커피 가공) (0) | 2021.09.07 |
3. 커피학개론(커피 역사, 커피 식물학) (0) | 2021.08.20 |